사업소개

광주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단 사업을 소개합니다.

자율협약형

사업개요

  • 기본역량 제고

    대학의 기본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경쟁력을 제고

  • 혁신성장 견인

    국가 혁신성장의 원동력인 미래형 혁신 인재 양성 지원

  • 지역 강소대학 육성

    지역 교육혁신과 지역균형 발전을 선도하는 강소대학 체질 개선 유도

사업개요

  • 지원기간 : 2019~2021년(3년)

    ※ 2019년 지원기간 : 2019.3.1~2020.2.29

  • 지원금 : 5,350억원 (포뮬러 지원금 5,290억원 + 2017년 ACE+ 선정대학 지원금 60억원)

지원대상

  • 총 131개교

    -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결과 자율개선대학 120개교 및 2018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결과 자율개선대학 11개교

지원조건

  • 대학의「중장기 발전계획」이 포함된 ‘대학혁신지원 사업계획’ 제출

    ※ 단, 학내 구성원의 의견 수렴 후 제출하여야 하며, 사업계획서 미제출 시 지원 불가

    • 2019년 재원배분(안) : 포뮬러(100%)
    • 2020~2021년도 재원배분(안) : 포뮬러(80%내외) = 성과평가 인센티브 (20% 내외)

지원방안-포뮬러 배분

재원배분

  • 권역별 배분 : 5,290억원을 권역별로 배분하되, 균형발전을 위해 ‘학부 재학생 수(50%)‘와 ’학교 수(50%)‘를 고려하여 배분

    ※ 2018년 기본역량진단 시 권역 구분 기준 적용

  • 대학별 배분 : 대학별로는 기준경비, 규모지수, 교육여건 등을 고려하여 포뮬러 100%로 배분

지원대상

  • 총 131개교

    -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결과 자율개선대학 120개교 및 2018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결과 자율개선대학 11개교


지원방안-수혜제한 및 컨설팅

부정·비리대학 수혜 제한

  • 기준 : 대학의 부정·비리 사안에 대해서는「재정지원사업 공정성·투명성 제고를 위한 공동 운영·관리 매뉴얼」(2018.7월)에 따른 ‘계속지원’ 시 수혜제한 규정 적용
  • 적용시기 : 2018년 역량진단 결과 확정·발표 이후 확인된 부정·비리 사안에 대해 점검 및 제재

컨설팅

  • 주요내용 : 「중장기 발전계획」을 포함한 ‘대학혁신지원 사업계획’의 타당성, 성과목표의 적절성 등을 검토하고, 계획 수정‧보완을 권고
  • 결과활용 : 컨설팅단의 수정‧보완 권고 사항을 반영하여 사업계획을 수정·보완하여 추진하며 컨설팅 결과를 성과평가 시 반영 등 검토

    ※ 단, 사업계획서 내용이 매우 미흡 또는 부실한 경우 사업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원금 지급 시기 등 조정 검토


지원방안-성가평가 인센티브 배분

성가평가개요

  • 평가시기 : 1,2차년도 사업 종료 시 연차평가를 시행하며, 3차년도(사업 종료년도)에 사업 기간 전체 주요 성과에 대한 종합평가 시행
  • 평가내용 : ‘대학혁신지원 사업계획(중장기 발전계획 포함)’에 따른 ‘대학혁신협약’ 이행을 중심으로 성과목표 달성 여부, 사업비 집행 적정성 등 평가*

    * 사업 추진실적, 지원금 집행실적, 성과관리, 차년도 운영계획, 과거 재정지원사업(PRIME, CORE, WE-UP) 사후관리 방안 이행 여부 등 포함

    ※ 사업 효과성 제고 및 조기 집행 유도를 위해 평가 시 사업비 집행률 반영 검토

결과활용

  • 2020년 이후 자율협약형 총 사업비 중 일부(20%내외)를 성과평가(연차‧종합평가) 결과와 연계하여 대학의 혁신성장 견인 및 지역 강소대학 육성을 위한 인센티브로 지급

    * 등급별 대학 비율(안) : (A등급) 40%, (B등급) 30%, (C등급) 30% (단, C등급은 인센티브 미지급)

    ※ 수도권을 제외한 4개 권역별 A등급 대학 중 학부 재학생 수 1만명 미만 대학은 ‘지역 강소대학’으로 보아 재원 배분 시 지역 가중치 부여